회사에서의 성과
프로젝트들
회사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는 꽤나 다양하다. 이걸 1년치를 기억해서 한꺼번에 적기는 어렵기 때문에 내 영문 이력서를 참고하는게 도움이 될 것 같다.
프로젝트 명, 기간, client, 내가 담당한 부분, 기술 스택과 같은 부분을 상세하게 적었으니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http://indeed.com/me/KimJongFeel
링크만 달랑 적으면 성의 없어 보이니 Client 이름, 프로젝트 이름만 나열해 본다.
- ETRI, SmartFactory AR
- APROS, IoT Monitoring AR
- KoreaTech, Job training simulation VR
- SMIC, SmartFactoryAR
- Virnect, NetworkLibrary
- NRICH, 황룡사 중문 복원 AR
- KEPCO, 연구과제 2차년도 AR
- KEPCO, 연구과제 3차년도 AR
- Doosan ICT, IoT 연구과제 AR
2017년에 비해 더 다양한 디바이스와 다양한 플랫폼에 대한 경험을 한 것 같다.
ARCore, ARKit을 활용해서 개발한 점도 그렇고, vuforia 역시 간단한 것 말고 복잡한 것 까지 추가로 구현한 점들 역시 좋은 경험 중에 하나였던 것 같다. => 하나의 image target을 가지고 상황에 따라 다른 game object를 증강시키는 방법 들
그 외에 현재 AR 기술의 한계점과 더 R&D 해야 할 부분들도 알게 되었다. 제일 중요한건 회사에서 R&D 연구소와, AR 개발팀이 별도로 분리가 되고 난 AR 개발팀에서 제품 개발에 대한 더 중요한 일들을 하고 맡게 되었다는 점이다. 업무 분담은 잘 되어 있는 편이고, 팀장과 대화를 많이 해서 내가 할 수 있는 일과 더 많이 도와 줄 수 있는 일을 찾아서 함께 진행하고 있다.
버넥트 블로그 - AR 개발팀 소개
https://m.blog.naver.com/virnect/221345263436
소프트웨어 공학을 접목 시키기 위한 노력
이런 말 하면 이상하게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난 개발 프로세스도 없고, 개발 문화가 없는 스타트업을 선호하는 편이다. 왜냐하면 내가 그런 걸 알고 있기 때문에 그런 게 없는 회사가 개발팀에 가서도 얼마든지 좋은 사람들과 함께 만들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역으로 이미 좋은 개발 문화와 프로세스가 있는 회사라면 배우는데는 좋은데 내가 뭔가 이끌어나간다는 역량을 키우는 데는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내 포지션이 어딘지 잘 판단하고 회사를 잘 선택해야 한다. 제일 중요한건 좋은 개발문화와 프로세스가 없어도 같이 일 하는 사람들이 쓸데없는 고집이 있지 않고 열린 마음을 가진 사람들이어야 하고 나 역시도 그들과 함께 일하기 위해서 꼰대짓 하지 말고 좋은 개발 문화가 뭔지 뭘 하면 좋을지에 대한 걸 잘 얘기하고 그들에게 모범을 보여주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런 차원에서 1인 팀에서 6인팀으로 늘어나는 과정에서 내가 전파하거나 받아들인 문화는 아래와 같다.
- 유닛 테스트
- Azure DevOps 사용 (아직까지는 repository만)
- 사내 스터디 활성화
- 프로젝트 리뷰
- CI/CD 도입
- 기술 블로그 장려
등이다.
사실 junior level에서는 이런거 신경쓰는거 보다 당장 내가 맡아야 하는 프로젝트 일을 끝내는 데에 더 신경쓰고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senior level인 내가 이끌어야 할 내용들이다. 여기서 사내 스터디 활성화는 내가 주도하는 건 아니고 내가 있는 개발팀의 팀장이 주최해서 참여하고 있는 것이다.
커뮤니티 활동
인천 GDG 개발자 커뮤니티
2018년 봄 쯤에 알게 되었는데 처음부터 이 커뮤니티에 들어가려고 했던 건 아니었고 여기 멤버 중 한 분인 승빈님이 git study를 열어서 참여하게 되었고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이 커뮤티니를 알게 되었다. 사실 git study 내용 자체는 알고 있던 거라 review 차원에서 듣게 된 것이고 여기서 내 개발활동의 영역을 넓혀 보고자 한 거였는데 git study는 study로 끝났고 인천 GDG 커뮤니티 활동을 조금씩 하게 된 건 좋은 것 같았다.
그러고 나서 보니 깨달은 바가 있었는데, 존 손메즈의 소프트 스킬이라는 책이 있는데 거기서 지역 개발자 커뮤니티 활동을 해보라는 얘기가 떠올랐다. 사실 이 책은 썩 좋은 책은 아닌데 쓸데없는 부동산 얘기와 피트니스 얘기가 있어서 그렇지만 다른 내용들은 꽤 볼만하다. 여기서 지역 커뮤니티 활동이 미국에서만 가능한 얘기인 줄 알았는데 내가 살고 있는 인천에도 이렇게 지역 개발자 커뮤니티가 있고 활동할 수 있게 된 건 매우 잘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gdgincheon/
여기 말고 슬랙 채널에 가입하는게 더 확실한 방법이다.
http://slack.gdg.kr/
하코사 커뮤니티 하반기 발표
http://cafe.naver.com/hacosa/240727
이 까페는 웹 개발자 까페 중 가장 활성화된 까페를 찾다가 알게 되었고 가입 후 멘토링을 해주는 글을 올리면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실제로 여기서 멘티 분을 두분을 만나 멘토링을 해 줬고, 기타 고민 상담 글에 대한 댓글을 좀 과격하게 달아 주면서 활동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하반기 세미나 발표 때 발표자를 모집한다고 해서 내가 그 동안 웹 프론트엔드 기술 동향에 대해 생각한 걸 정리하면서 내 멘토링 활동 소개, 그리고 개발 잘 하는 방법 등을 발표하는 자리가 됐으면 해서 신청 했고 운 좋게 선정되서 발표도 하게 되었다.
난 주로 회사 개발 일 위주로 일을 해 왔고 커뮤니티 활동은 잘 안했었는데 이번 계기를 통해 오프라인으로도 커뮤니티 활동을 하게 된 계기가 됐고 여기 운영진 분들에게 매우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발표 자료는 잘 모르는 사람이 보다 보면 약팔이로 느낄 수 있으나 끝까지 보면 결코 약팔이 발표자료가 아님을 알 수 있으니, 대충 보고 욕하지 말았으면 한다.
스터디 그룹
스터디 모임에 대해 짧게 얘기해 보면 스터디 그룹은 조금 비추하는 편이다. 왜 그런가 하면 열심히 하는 사람도 드물고, 핑계대면서 빠지는 사람도 많은 데다가 그런 사람들과 함께 하면 나까지 게을러지기 때문이다. 사실 아는 사람들 끼리 해야 스터디 모임이 활성화가 되는데 그렇게 하면 또 친목 모임으로 변질되서 새로 들어오는 사람들이 적응을 못하는 현상도 생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시도하려는 이유는 사람들과 만나 얘기를 하고 새로운 생각들과 개발에 대한 관점을 얘기해 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솔직히 기술 실력 높이는 건 스터디 그룹에서는 할 수 없는 일인 것 같다.
git - 기초 스터디
git 스터디는 위에 잠깐 얘기한 대로 승빈님의 스터디 그룹에 참여하는 것 부터 시작해서 진행했다. 물론 이 모임도 잘 참여하는 사람 아닌 사람 좀 갈리긴 했지만, 멤버 절반 이상이 인천 GDG 멤버였기 때문에 끝까지 잘 진행되기는 했다. 여기서 내가 배운 건 여렴풋이 알고 있었던 git flow에 대한 간단한 실습을 해봤다는 것이고, 역시 혼자 하는 거 보다 같이 하는게 좋다는 걸 알게 된 스터디였다.
이 스터디 모임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github.com/jongfeel/git2018
알고리즘 스터디 참여 - 백준 알고리즘 문제 풀기
혼자 프로젝트 오일러 문제를 풀다가 질릴 때 쯤 온라인으로 알고리즘 문제 풀고 코드 공유하는 식의 스터디 모임이 있길래 참여했는데 2주도 안되서 폭파 됐다. 폭파된 문제는 뻔한 거였는데 사람들의 참여율이 1주 만에 엄청 낮았다는 거였고, 2주만에 1/3, 3주차에 나를 제외한 한명만 참여하고 있었던 점이다. 쉬운거 부터 차례대로 풀어서 코드 공유하는 건데, 그것 마저도 아무 얘기 없이 안하는 사람들이 있었다는건, 스터디 모임은 유지되기가 어렵다는 걸 얘기해 주며 온라인 모임은 더더욱 유지되기 어렵다는 걸 반증하는 것 같다.
이 스터디 모임 관련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다.
https://github.com/jongfeel/BaekjoonOnlineJudge
node.js - ecma2015 문법 정리
하반기에 다시 승빈님이 주최한 스터디 모임이어서 주저 없이 신청했다. 스터디 모임은 참여하기 쉬운 반면에 주최하는 쪽은 준비도 많이 해야 하고 신경써야 할 것도 많기 때문에 참여하는 쪽으로 하게 된 거고, 승빈님이 발표자료 준비를 잘 해오기 때문에 편한 것도 있었다. 내용은 ecma2015 문법 정리 + express를 통한 간단한 rest api 및 DB 연결 까지였다. 새로운 멤버들도 있었고, 기존 인천 GDG 운영자 분들도 있어서 잘 진행된 스터디였고 중간에 나오다 안나온 사람 둘 빼고는 잘 진행된 것 같았다. ecmascript2015야 하코사 발표 할 때도 엄청 많이 봤었고 그 전에 실무에서도 썼었기 때문에 역시 리뷰하는 마음으로 참여 했는데 진행하다 보니 역시 사람들의 생각은 조금씩 달랐고 그 대화에 참여하는 것 만으로도 즐거웠던 스터디 모임이었다.
역시 아래 링크에서 내용 확인이 가능하다.
발표 자료는 승빈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하고 내 git repository는 소스 코드만 있다.
https://www.slideshare.net/sungbeenjang/es6-for-nodejs-study
https://github.com/jongfeel/ES6_Node_Study
알고리즘 훈련 - 오일러 프로젝트
이건 몇 년 전에 봐온 영국의 어떤 프로그래머 분에게 영감을 얻어 나도 수학 문제를 풀고 알고리즘 해결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자는 취지해서 시작한 것이다. 사실 시작할 생각은 훨씬 전부터 했지만 내가 멘토링을 진행하는 분 중에 알고리즘 문제를 푸는 연습을 하시는 분이 있어서 내가 모범이 되고자 시작한 계기가 제일 크다.
알고리즘 문제 푸는 방법은 다른 인터넷 글에 많이 나와 있으니 그대로 하면 재미 없을 것 같아서 내가 생각했던 방법과 잘못 생각하고 있었던 것, 나만의 생각의 흐름 정리, 마지막으로 코드 기교 부리기 정도로 해서 진행했다. 현재 15번 까지인가 풀고 잠깐 쉬는 중인데 올해도 조금씩 진행할 예정이다.
아래 링크를 참고하면 알고리즘 문제 진행한 내용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https://github.com/jongfeel/ProjectEuler
송도 알고리즘 스터디 - 프로그래머스 문제 풀기
송도 GDG에서 알게된 백지훈님이 주최하는 모임에 참여하게 되서 진행한 온라인 스터디 모임이다. 백준 알고리즘 온라인 모임은 이미 죽어 있는 상태에서 다시 온라인 모임을 한다고 해서 참여하게 됐는데 여기 지훈님이 C++에 대해서 아주 잘 알고 있는 분인데다가 부지런한 분이어서 나도 같이 부지런히 알고리즘 문제 푸는 모임을 진행하고 있다. 문제는 프로그래머스라는 사이트에서 두 문제를 선택해 문제를 풀고 순서가 되면 문제 푸는 방법을 설명하는 식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이 모임 역시 안하는 사람이 절반이 넘기 때문에 그 사람들은 걸러 내고 지훈님과 나는 100% 참여율이고 나머지 몇 몇 분들이 조금씩 문제를 풀어와 같이 리뷰하는 식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알고리즘 문제 푸는 방법을 뛰어 넘어서 내가 선택한 언어가 어떻게 전략적으로 코드가 나오는지, 여러 다른 언어들로 풀어 가면서 나의 생각 정리하기 정도를 더 추가하고 있다. 알고리즘 문제 푸는 거 정리하는 거 쯤은 다른 블로그 쓰는 사람들도 하는 거라 나는 좀 더 차별성을 두고 진행하고 있다.
여태까지 진행 내용에 대한 공유 문서,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UOVxD362DiHKsXeG-_bhAIHg_RCA9LCJ3gaYqLuPqEg/edit#gid=0
내가 푼 문제는 여기에 정리하고 있다.
https://github.com/jongfeel/SongDoAlgorithmStudy
멘토링
아무래도 2018년을 한 문장으로 정리해 보라고 한다면 "멘토링 활동" 이라고 하고 싶다.
https://jongfeel.github.io/Software/
소프트웨어라는 제대로된 개념을 전파하기 위한 나름 나만의 활동인데, 현재까지 내 인생에서 제일 잘하고 있는 걸 꼽으라면 이 활동을 얘기하고 싶을 정도로 매우 중요한 활동이다. 학생, 취업준비생, 현업 개발자 등 다양한 분들과 함께 대화하고 소통하면서 그 분들에게 필요한 역량과 생각이 무엇인지 그리고 제대로 하기 위해서 뭘 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역할에 충실히 하고 있다. 나 역시 항상 가르쳐 주기만 하고 알려주기만 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어린 분들이지만 남다른 생각을 가진 것과 대화하면서 더 배우기도 하는 점도 있는 등 좋은 면이 훨씬 많다.
기타
그 밖에 소소하게 진행한 것들 중에 아래와 같은 것 들이 있다.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취득
여태까지 딸 생각이 없었다가 따게 된 계기 부터 해서 정리된 건 내 블로그 글을 확인하는게 좋을 것이다.
https://developerfeel.blogspot.com/2018/05/blog-post.html
한국사 1급 실패
정보처리기사는 내 전공과 관련된 거다 보니 아내와 함께 할만한걸 찾다가 한국사 시험을 보기로 했다. 사실 한국사 1회 시험을 본 적도 있고 떨어진 기억도 있기에 다시 해볼까 해서 해봤는데 아내와 다 둘다 실패. 점수도 50점 대로 합격과는 거리가 먼 점수였는데 기출문제 외우는 수준으로 한국사 1급은 딸 수 없다는게 내 생각이다. 한국사에 대한 매우 깊은 이해가 없이는 문제를 풀기가 매우 어렵기 떄문에 준비를 많이 해야 하는 시험이다.
베이스 기타 연주
전에 교회를 다닌 적이 있고 베이스 연주를 하다 보니 가끔 베이스 연주를 하곤 하는데, 합주는 안되니까 RockSmith 게임 동영상을 YouTube에서 재생하고 거기에 맞춰서 연주하는 수준으로 점심시간에 가끔 즐긴다.
요건 Fray의 How to Save a Life, Bass 연주하기도 쉬운데다 노래가 좋다.
아래 링크는 내가 직접 연주한 UpTown Funk intro 연주 부분
딸 다은이의 성장
갓난 아이였던 다은이가 이제 많이 성장해서 말도 하고 뛰어 다닌다. 집에 있을 때는 나에게 최고의 행복을 주는 아이.
오랜 기간 소통하지 않았던 친구들과의 소통
사실 만날 일이 별로 없기도 하지만 인천으로 이사도 왔고 다은이도 좀 커서 친구들도 다시 만나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 쯤에 친구 한놈이 결혼한다고 해서 그 일을 계기로 다시 잘 지내보려 한다. 올해 부터는 여행 계획을 세워서 여행을 잘 다녀보기로 했다.
영화 리뷰
영화 많이 보기가 내 주요 취미임에도 불구하고 뭔가 리뷰 같은걸 적어 본게 별로 없다. 예전에 블로그에 적은건 CGV에서 썼던 링크인데 그마저도 다 날아가고 해서 다시 제대로 써볼 겸 해서 쓰고 있다. 작년 5월 부터 부지런히 쓰고 있고 계속해서 쓰고 있으니 칭찬할 만 하다.
영화 리뷰 글은 내 또 다른 블로그에서 볼 수 있다.
https://feelcommonlife.blogspot.com/
No comments:
Post a Comment